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부친 사이에는 악연이 있습니다.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 대표의 아버지인 전방방직 설립자 김용주 전의원은 4ㆍ19혁명 직후 민주당 원내총무를 지냈습니다. 하지만 박정희 전 대통령의 5ㆍ16으로 의원직을 잃었습니다. 김 대표는 이를 두고 “과거 인연은 과거 인연”이라고 했지만, 그런 연유에서인지 민주화 운동에 투신했습니다. 재야 정치단체인 민주화추진협의회 창립멤버였고 YS(김영삼)계로 정치에 입문했습니다. YS가 3당 합당을 하지 않았더라면 박 대통령과 연을 맺을 일도 없었을지 모르는 대목입니다.
박 대통령은 ‘자기 정치’를 하는 사람을 싫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권력은 나눌 수도, 위임할 수도 없다는 철학이 확고해 2인자를 용납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찍어내는 방식은 집중적이고 단호합니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파렴치한으로 몰려 쫓겨났습니다. 메르스 사태 와중에서도 ‘유승민 숙청’을 밀어부친 대통령입니다. 김 대표 사위 마약 논란과 윤상현 청와대 정무특보의 ‘김무성 대권 불가론’을 단순한 오비이락으로 볼 수 없는 이유 입니다. 판결 후 7개월이나 지난 시점에 터져 나온 것도 그렇고, 사석에서 박 대통령을 ‘누나’라고 부를 정도로 지근 인사의 작심발언이라 예사롭지 않습니다. “조만간 다른 게 터져나올 수 있다”는 유시민 전 복지부장관의 분석이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합니다.
지금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 등으로 일시 수면 아래로 가라 앉은듯 하지만, 처음 김 대표 사위 문제가 불거져 나왔을 때만 해도 진짜 ‘김무성 흔들기’는 이제부터라는 관측이 많았습니다. 청와대와 친박계가 김 대표를 낙마시킨 뒤 조만간 당에 복귀하는 최경환 부총리를 옹립해 비대위 체제로 총선을 치른다는 구상이라는 것입니다. 가장 유력한 방식으로 지도부 와해 전략이 거론되었습니다.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이 사퇴해 다른 최고위원들의 동반 퇴진을 유도하는 길입니다. 2011년 당시 유승민 남경필 원희룡 최고위원이 사퇴하면서 홍준표 대표 체제가 붕괴한 사례를 벤치마킹 하는 셈입니다. 공교롭게도 그 후 등장한 게 박근혜 비대위 체제였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후퇴와 ‘우선 추천제’수용 의견 등으로 김 대표에 대한 공세 명분이 약해져 친박계가 전략을 바꾸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즉 ‘김무성 축출’에서 ‘김무성 무력화’로 말이지요.
앞서 언급한 윤 의원의 ‘친박 대권 후보론’은 청와대의 ‘차기 구상’과 밀접히 연관된 흐름으로 보입니다. 정치권에서는 친박 진영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점찍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물론 ‘김무성 흔들기’의 일환으로 애드벌룬을 띄우는 수준에서 그칠 수도 있으나, 높은 인지도에 충청 출신이라는 강점으로 대권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거라고 일단 보고 있습니다. 야권의 지리멸렬로 총선 압승은 기정사실이고 차기 정권마저 재창출한다면 친박 장기집권도 불가능하지 않다는 게 친박 진영의 판단이라는 것입니다. 과연 청와대와 친박계의 대선 시나리오가 앞으로 이대로 흐를지, 또한 궁극적으로 성공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입니다.
'이런저런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한국을 제치고 세계최고 수준 제조강국 야심 (0) | 2015.11.09 |
---|---|
가난을 딛고 미 연방 하원의장 된 공화당의 ’40대 기수’ 폴 라이언 (0) | 2015.10.31 |
진보진영의 양대 세력 NL(민족해방)과 PD(민중민주) (0) | 2015.10.26 |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으로 양분된 여론 (0) | 2015.10.24 |
‘반기문 대망론’의 실체와 가능성 (0) | 201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