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인 20대 대선이 2022년으로 아직 3년이나 남은 상황이지만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이낙현 현 총리가 여야의 차기 잠룡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치권에 입문한 황 전 총리는 일단 자유한국당 당권 경쟁에 뛰어들며 대권 출발선에 섰고, 이 총리는 문재인 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맡아 안정감 있는 국정운영을 뒷받침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두 전·현직 총리가 2022년 대선가도의 선두권을 형성하면서 역대 총리 출신들의 ‘대통령 도전사(史)’도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초대 이승만부터 19대 문재인 대통령까지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은 모두 12명입니다. 이중 국무총리를 지낸 인물은 10대 대통령 최규하가 현재까지 유일합니다. 최규하 전 총리는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게 사해당한 10·26 당시 총리로서 대통령 권한대행에 올랐습니다. 그해 12월 6일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8개월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체육관 선거’로 뽑힌 간선 대통령인 데다 전두환과 신군부가 실권을 쥐고 있던 시기여서 명실상부한 존재감을 부여하기는 어려운 인물입니다.
역대 총리 중 대통령직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던 인물은 이회창 전 총리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전 총리는 김영삼 정부 때인 1993년 12월부터 1994년 4월까지 불과 125일 정도만 총리직을 재임했습니다. 하지만 ‘대쪽 총리’ 이미지를 강렬하게 남긴 뒤 1996년 15대 총선에서 여당인 신한국당의 러브콜을 받고 선대위원장이자 전국구 1번으로 정계에 입문했습니다. 신한국당 9룡 중 하나였던 그는 1997년 3월 노동법 날치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이홍구 대표를 이어 신한국당 대표로 지명됐고, 이후 여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습니다. 그러나 대선에서는 1997년에는 김대중 후보에, 2002년에는 노무현 후보에 근소하게 패하며 정계를 은퇴했습니다. 그 뒤 2007년 세 번 째 대선 도전에 나섰지만 3위에 그쳤습니다. 총리직 재임시 김영삼 전 대통령과 잦은 충돌 끝에 사실상 경질됐지만, 오히려 ‘대쪽 총리’라는 강한 이미지는 대선주자로 도약하는 데 밑바탕이 됐습니다.
김영삼 정부 마지막 총리(1997.3~1998.3)에 이어 노무현 정부 초대 총리로 발탁된 고건 전 총리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입니다. 고 전 총리는 민선 서울시장(1998~2002) 경력에다, 노무현 대통령이 국회의 탄핵소추안 의결로 직무정지 상태일 때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이력을 지녔습니다. 두 차례 총리 역임, 민선 서울시장에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이력으로만 보면 이회창 전 총리보다 대통령직에 더 가까웠다는 평가가 나올 법도 했습니다. 대행 시절 안정적인 국정운영 등으로 호평 받으며 한때 여권의 유력 주자로 떠올랐지만 총리 퇴임 이후 노 대통령과의 대립, 여당 지지율 답보 등 여러 상황이 얽히면서 스스로 대선 출마를 포기하기에 이릅니다.
노무현 정부의 한명숙·이해찬 총리도 2007년 대선 경선에 뛰어들었지만 열린우리당 의장과 통일부 장관 출신의 정동영 후보에게 밀렸습니다. 이명박 정부 당시 정운찬 총리도 서울대 총장 출신, ‘중도 포지셔닝’으로 여야의 러브콜을 받았습니다. 이 전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통령 견제를 위해 총리로 임명했지만 세종시 수정안 폐기와 함께 완패하고 말았습니다.
이제는 정치인이라 불러야 할 황교안 전 총리는 법조인 출신으로 대한민국 제44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습니다. 사법연수원을 13기로 수료하고 전두환 정부 시절인 1983년 청주지검 검사로 임명되면서 법조인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박근혜정부에서 법무부장관을 거쳐 국무총리(2015년 6월 18일~2017년 5월 11일)를 지냈으며, 대통령 탄핵 소추 의결서가 청와대에 송달된 2016년 12월 9일 오후 7시 3분부터 차기 대통령이 취임한 2017년 5월 10일 오전 8시 9분까지 우리 헌정사상 세 번째로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했습니다. 지난 1월 15일 자유한국당에 입당하면서 본격 정치권에 투신하였으며, 2월 전당대회에서 당권 도전에 나설 것을 공식화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낙연 제45대 현 국무총리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첫 번째 국무총리로, 2017년 5월 31일 임명동의안 통과 직후 임명장을 받아 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황교안 전 총리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이지만 집이 가난하여 대학 4년 내내 하숙비를 못낼 때가 많아서 친구나 친척의 집을 전전했다고 합니다.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카투사로 군에 입대하여 만기로 전역하였고, 전역 후 고시를 보지 않고 바로 동아일보에 기자로 입사해 정치부 기자와 도쿄 특파원을 지냈습니다.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로 일하던 시절 ‘동교동계’로 불리던 옛 민주당을 출입하다가 김대중 전 대통령과 알게 되면서 정치권에 입문하게 됐습니다. 이후 제16대~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지역구는 전남 함평군-영광군-장성군-담양군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2014년 6.4 지방선거 때 전남도지사 선거에 도전장을 내밀어 78.0%의 득표율로 당선돼 전라남도의 도정을 돌보기도 했습니다.
우리 정치사에서 대한민국 총리는 대통령 다음이라는 의미의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는 위상과 함께 방탄총리·대독총리라는 오명도 동시에 받아 왔습니다. 총리라는 정치적 무게의 명암인 것입니다. 총리 이력이 정치적 자산이 되기도 하지만, 강력한 대통령제 국가에서 애매한 위상에 그치기도 합니다. 이회창 전 총리는 대쪽 이미지를 당을 장악하는 리더십으로 확대 발전시켰습니다. 그가 두 차례 대선 후보로 선출될 수 있는 요인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고건 전 총리는 애매한 노선, 권력의지 부재로 결국 중도 포기에 그쳤습니다.
70년이 넘은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총리 출신 직선 대통령이 단 한명도 없었다는 것은 대통령과 총리의 정치적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하는 총리직은 ‘주어지는 자리’지만, 대통령은 권력의지의 산물이자 정치적 쟁취의 결과물이기 때문입니다. 과연 황교안 전 총리와 이낙연 현 총리는 어떤 길을 걷게 될까요? 과거를 답습하든, 새 길을 열든 총리 이력 자체만으론 대선 지름길이 되긴 어려워 보입니다. 잠룡은 될지언정, ‘저절로 나오는 용은 없다’는 게 과거 총리 출신들이 남긴 교훈입니다.
'이런저런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합의 무산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0) | 2019.02.28 |
---|---|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황교안 전 총리 신임 당 대표로 선출 (0) | 2019.02.28 |
안희정 전 지사 ‘비서 성폭력’ 혐의 2심 유죄 판결 법정구속 (0) | 2019.02.05 |
김경수 지사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 1심 징역2년 선고 법정구속 (0) | 2019.01.30 |
‘뉴스룸’ 손석희 JTBC 사장 프리랜서 기자 폭행 논란 (0) | 2019.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