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생각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합의 무산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Chris7 2019. 2. 28. 20:3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 제재 해제 문제를 둘러싼 이견으로 결렬됐습니다. 이로써 작년 초부터 시작된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여정이 중대 기로에 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위원장은 28일 오후 정상회담이 열린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호텔에서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은 채 각각 숙소로 복귀했습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현 시점에서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7일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지난해 6월 12일 북미 1차 정상회담 이후 8개월 만에 다시 만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첫 일정인 단독회담과 만찬에 앞서 악수를 하고있다. (출처: 백악관 트위터) 2019.2.27



트럼프 대통령은 숙소인 JW메리어트호텔에서 가진 회견에서 회담 결렬 이유에 대해 "제재와 관련된 것이었다"며 "제재가 쟁점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북한에서는 제재 해제를 요구했지만 저희는 그러지 못했다"면서 "합의문에 서명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원하는 비핵화를 우리에게 줘야지만 우리도 제재 해제를 해줄 수 있다"며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영변 핵시설보다 플러스알파를 원했던 것 아니냐. 나오지 않은 것 중에 우리가 발견한 게 있었다"라며 "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분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로 발견한 시설이 우라늄 농축과 같은 것이냐는 물음에 "그렇다"면서 "우리가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해 북한이 놀랐던 것 같다"고 덧붙여 그간 '강선'으로 알려진 영변 이외 지역의 비공개 우라늄농축시설 존재를 미측이 거론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이와 관련해 기자회견에 동석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영변 핵시설 외에도 굉장히 규모가 큰 핵시설이 있다"면서 "미사일도 빠져 있고, 핵탄두 무기 체계가 빠져 있어서 우리가 합의를 못 했다. (핵)목록 작성과 신고, 이런 것들을 합의하지 못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매우 생산적인 시간을 같이 보냈다"면서 "김 위원장, 북한과 계속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회견에서 "북한과 논의를 통해 많은 진전을 이뤘으나 끝까지 가지 못했다"면서 "북한과의 핵 담판이 결렬됐지만, 앞으로 몇 주 이내에 합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혀 주목됩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회담 결렬 소식을 전하면서 "양측은 미래에 만날 것을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실무협상 등 비핵화 논의의 불씨를 다시 살리기 위한 후속 회담이 일정한 시기에 다시 열릴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지난해 6월 1차 회담에서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을 구체화해 합의문에 담기위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앞서 두 정상은 전날 오후 단독회담과 만찬을 진행한 데 이어 이날도 오전 8시55분께부터 단독회담과 확대회담을 진행했습니다.


오전까지만 해도 두 정상은 긍정적인 발언을 쏟아내 회담 성과에 대한 기대가 높았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확대회담장에서 '비핵화 준비가 됐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런 의지 없다면 여기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답을 들은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답이다"(good answer)라고 평가한 뒤 "와, 저것은 최고의 답일 것 같다"(Wow, that might be the best answer)며 환영했습니다. 하지만 확대회담 시간이 예정보다 길어지면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일기 시작했고 결국 두 정상은 아무런 합의도 도출해 내지 못한 채 뒤돌아서고 말았습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 담판'이 아무런 소득을 얻지 못하고 결렬되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2차 북미정상회담 첫 날인 전날까지만 하더라도 북미 정상이 이번 협상 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기대감을 높였던 터라 더욱 충격적인 분위기입니다.


북미 간 협상의 판이 엎어지면서 청와대 내부에서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이날 북미 협상이 결렬됐다는 소식이 알려진 이후 2시간이 넘도록 별다른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북미 간 구체적인 한반도 비핵화 로드맵이 도출되기를 기대했던 청와대의 충격과 허탈함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대목입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6시 20분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오늘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점은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동행했던 청와대 직원들 역시 아쉬워하는 표정이 역력했습니다. 협상 결렬 소식이 전해지기 전 열렸던 브리핑에서 "북미회담의 결과를 기다리면서 잠시 휴지기에 있었던 남북대화가 다시 본격화되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던 것과 다른 태도였습니다. 다만 김 대변인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룬 것도 분명해 보인다. 두 정상이 오랜 시간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상대방의 처지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습니다. 이번 북미회담의 긍정적 요소를 강조, 실패한 회담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김 대변인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지속적인 대화 의지와 낙관적인 견해는 다음 회담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계해 제재 해제 또는 완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점은 북미 간 논의의 단계가 한층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김 대변인은 '청와대가 볼 때 협상 결렬 이유가 무엇으로 보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통해서 크게 타결하기를 원했던 것 같다. 그러나 그런 기대치에는 두 정상 간 이르지 못해서 최종적인 합의, 타결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습니다. '미국이 크게 원했다는 건 누구 판단'이냐는 질문에 "제 판단"이라고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 역할 전망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북미회담이 이제 끝나서 지금 당장 제가 답변드릴 만한 근거는 별로 없다"면서도 "문 대통령의 역할과 책임감이 더 깊어졌다고 생각한다. 더 적극적으로 한반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룬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북한은 앞으로도 여러 차원에서 활발한 대화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우리 정부는 미국과 북한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면서,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나가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비핵화를 위한 북미 간 2차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마무리되자 주요 외신들은 일제히 긴급뉴스로 이 소식을 전했습니다. AP 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차 정상회담에서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며 “두 나라 간 회담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AFP 통신도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났다고 백악관이 밝혔다”고 신속하게 타전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북한 핵 프로그램에 대한 앞으로의 회담 전망도 의문에 휩싸였다”고 보도했고, 미 CNN 방송도 아무런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백악관이 밝혔다면서 정상회담이 갑작스럽게 종료됐다고 전했습니다. 뉴욕타임스 역시 생중계 브리핑을 통해 정상회담에서 아무런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예정됐던 일정이 단축됐다고 긴급 보도했습니다.


한반도 주변국들도 각자 입장을 발표했는데, 중국이 가장 먼저 입장을 내놨습니다. 루캉 외교부 대변인은 회담 결렬 소식이 전해진 뒤 “북한과 미국이 계속 대화해야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지난 1년간 한반도 정세는 중대한 전기를 맞았다”면서 “대화와 협상을 계속하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과 미국이 계속 대화를 유지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체제 구축을 추진하기를 바란다”면서, “중국은 계속 마땅히 할 역할을 발휘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자세한 내용을 확인 중”이라며 “미국과 계속해서 긴밀히 연대해 가고 싶다”고 말했습니다.